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4절기의 의미와 유래 풍습 제철음식 그리고 양력인가 음력인가?

자연과학

by 코끼리코라우 2020. 10. 8. 02:02

본문

반응형

24절기의 의미와 유래 풍습 제철음식 그리고 양력인가 음력인가?


오늘은 24절기란 무엇인지 그 의미와 유래, 종류와 풍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4절기는 음력인가? 약력인가?

아주 오래전 부터 우리나라는 음력을 이용하여 날짜를 세어왔는데요. 그래서 24절기도 음력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하지만 주로 농경생활을 하던 우리 조상들은 농사에 필요한 24절기를 만들었는데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계절이 변화하는 것을 파악하기위해 실제로 달력을 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 사이와 19~23일 사이에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양에는 1주일 (7일)을 주기로 생활해왔는데요. 중국과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권에서는 24절기를 이용해서 15일을 주기로 생활다고 보면 됩니다. 실제도 음력에 따르는 것이 농경 사회에 적합했는데요. 왜냐하면 해를 기준으로 하기보다는 달을 기준으로 하면 매번 15일 주기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해와 달의 순기가 1년을 기준으로 서로 차이가 난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일상 생활 속에서 느끼는 하루 하루의 편리는 달을 기준 삼는 음력이 좋았지만,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양력으로 짜 맞추어진 절기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과는 차이 생긴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달이 지구를 1번 공전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29.5일이고, 12달이면 354일이 되는데요. 하지만 지구가 해를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365일로 11일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이 사용하던 달력은 정확하게 말하면 음력과 양력을 조합한 태양태음력을 사용했습니다. 아래에서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4절기의 정의



24절기란 하늘에 '태양이 지나는 길(황도)'을 24개로 나누어 구분한 것인데요. 황도상에서 태양의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돌 때 지구의 입장에서 태양의 위치가 하루에 1도씩 바뀌며 생기는 길을 ‘황도’라고 부릅니다. 하늘에서 해가 1년 동안 움직이는 길인데요. 그 길에 15도마다 절기가 있는 것입니다.

24절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로 4계절을 나누고, 각 계절을 다시 6등분해서 양력 기준으로 한 달에 두 개의 절기를 나누어 배치했습니다. 즉,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일조량, 강수량, 기온 등을 보고 농사를 짓는데, 순태음력은 앞에 말한 대로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태양의 운행, 즉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도는 길인 황도(黃道)를 따라 15°씩 돌 때마다 중국 황하 유역을 기준으로 기상과 동식물의 변화 등을 나타내어 명칭을 붙였습니다. 그 명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봄: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

여름:입하(立夏), 소만(小滿), 망종(芒種), 하지(夏至), 소서(小暑), 대서(大暑)

가을: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 상강(霜降)

겨울:입동(立冬),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 대한(大寒)



24절기의 유래 : 입춘은 양력 2월 4일인데 왜 아직도 추운 겨울에 봄이 왔다고 정했나? 우리 계절과 잘 맞지 않은것 아닌가?

24절기가 중국 주나라 때 황허강 주변 화북 지방의 기후 특징을 바탕으로 만들어졌기때문에 우리나라의 기준으로는 약 보름정도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양력 2월 4일 경인 입춘 (봄으로 접어든다)은 것은 중국 황허강 주변이 봄이 되었다는 의미이고 우리나라에서는 15일 후인 2월 19일 경이 되어야만 계절적으로 봄날씨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24절기의 종류와 그 절기의 의미들을 살펴볼까요?


 24절기의 종류

24절기는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 춘분, 추분, 하지, 동지,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은 계절의 변화를 의미하고 

* 소서, 대서, 처서, 대한은 더위와 추위를 의미합니다. 

* 우수, 곡우, 소설, 대설은 강수 현상을 의미하고 

* 백로, 한로, 상강은 수증기 응결을 의미합니다. 

계절에 따라 만물의 변화는 소만, 만종, 경첩, 청명이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4계절에 따라 의미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봄

2월

◉ 입춘(立春) - 양력 2월 4일 또는 5일 : 24절기 중 첫 번째의 절기로써, 봄의 시작을 알리며 동양에서는 이날부터 봄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 우수(雨水) - 양력 2월 18일 또는 19일 : 우수는 눈이 녹아서 봄비가 내리고 싹이 틈을 뜻합니다.

주요 세시 풍속 - 입춘과 우수에는 설빔, 차례, 성묘, 세배, 복조리, 횡수막이, 쥐불놀이, 토정비결 보기, 널뛰기, 윷놀이, 연날리기, 오곡밥 먹기, 달불이, 안택고사, 부럼 깨물기, 귀밝이술, 더위팔기, 용알뜨기, 대보름 쇠기, 달맞이, 줄다리기, 석전, 답교, 볏가릿대 세우기 등의 세시풍속이 있습니다.


3월

◉ 경칩(驚蟄) - 양력 3월 5일 또는 6일 :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남을 의미하며 농사를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중요한 절기입니다.

◉ 춘분(春分) - 양력 3월 20일 또는 21일 : 낮이 길어지는 시기입니다.

주요 세시 풍속 - 영등할머니, 볏가릿대 허물기, 머슴날, 콩볶기, 좀생이 보기가 있습니다.


4월

◉ 청명(驚蟄) - 양력 4월 4일 또는 5일 :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의미로 봄 농사를 준비합니다.

◉ 곡우(穀雨) - 양력 4월 20일 또는 21일 : 농사비가 내린다는 의미입니다.

주요 세시 풍속 - 한식 묘제, 삼짇날, 화전놀이, 장담그기가 있습니다.


 여름

5월

◉ 입하(立夏) - 양력 5월 5일 또는 6일 :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 소만(小滿) - 양력 5월 21일 또는 22일 :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으로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생장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주요 세시 풍속 - 초파일, 연등, 등 띄우기, 줄불놀이를 합니다.


6월

◉ 망종(芒種) - 양력 6월 5일 또는 6일 :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입니다.

◉ 하지(夏至) - 양력 6월 21일 또는 22일 : 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입니다.

주요 세시 풍속 - 산맥이, 단오, 단오부채, 쑥호랑이, 천중부적, 단오치장, 창포, 그네뛰기, 씨름, 봉숭아물 들이기가 있습니다.


7월

◉ 소서(小暑) - 양력 7월 7일 또는 8일 : 작은 더위라고 불리며 이때부터 더위가 시작됩니다.

◉ 대서(大暑) - 양력 7월 22일 또는 23일 :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한 절기입니다.

주요 세시 풍속 - 유두천신, 삼복, 천렵이 있습니다.


가을

8월

◉ 입추(立秋) - 양력 8월 7일 또는 8일 :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 처서(處暑) - 양력 8월 23일 또는 24일 : 더위 식고 일교차 커지는 절기로 신선한 가을을 맞이한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주요 세시 풍속 - 칠석고사, 백중날, 백중놀이, 호미씻이, 우란분재, 두레길쌈 등이 있습니다.


9월

◉ 백로(白露) - 양력 9월 7일 또는 8일 : 이슬 내리기 시작하며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 추분(秋分) - 양력 9월 23일 또는 24일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고 밤이 길어집니다.

주요 세시 풍속 - 벌초, 추석 차례, 거북놀이, 소먹이놀이, 강강술래 등을 합니다.


10월

◉ 한로(寒露) - 양력 10월 8일 또는 9일 : 찬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며 농촌은 수확하기 위해 타작이 한창일 때입니다.

◉ 상강(霜降) - 양력 10월 23일 또는 24일 : 서리 내리며 단풍이 절정에 이르게 됩니다.

주요 세시 풍속 - 중양절, 중양제사를 지냅니다.


 겨울

11월

◉ 입동(立冬) - 양력 11월 7일 또는 8일 : 겨울의 시작을 알리며, 김장을 합니다.

◉ 소설(小雪) - 양력 11월 22일 또는 23일 : 얼음이 얼기 시작하고 날씨가 추워집니다.

주요 세시 풍속 - 말날, 시제, 성주고사를 지냅니다.


 12월

◉ 대설(大雪) - 양력 12월 7일 또는 8일 : 겨울의 큰 눈이 오는 뜻으로 일 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리고 새해맞이 준비를 하는 농한기입니다.

◉ 동지(冬至) - 양력 12월 21일 또는 22일 : 밤이 가장 긴 절기로, 팥죽을 먹는 풍속이 있습니다.

주요 세시 풍속 - 동지, 동지고사, 동지차례를 지냅니다.


 1월

◉ 소한(小寒) - 양력 1월 5일 또는 6일 : 겨울 중 가장 추운 절기입니다.

◉ 대한(大寒) - 양력 1월 20일 또는 21일 : 24절기 중 마지막 절기로 큰 추위를 뜻하며 실제로는 소한보다는 덜 춥다고 합니다.

주요 세시 풍속 - 납일, 제석, 묵은 세배를 드립니다.


24절기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우리가 막연하게 생각했던 것과는 약간 차이가 있죠? 

앞으로도 막연하게 잘못 알고 있는 상식들을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